본문 바로가기

중대재해2

안전보건산업 육성 중대재해 대책(고용노동부 보도자료) 요약 정부에서는 중대재해 감축을을 위해 "중대재해 감축 로드맵"을 설정하였습니다. 이는 위험성평가의 감독을 강화하는 내용입니다. 따라서 스마트장비 및 관련 인력 양성에 예산을 배정하고 그에 따라서 일자리가 창출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안전보건산업 육성방안 고용노동부(정부)는 지난해 발표했습니다 "중대재해 감축 로드맵"을 통해서 중대재해를 예방하겠다는 내용이였습니다. 중대재해 발생 회사의 수가와 감독을 통해서 엄중하게 책임을 부과한다는 점, 이는 작업중지를 포함합니다. 직원들은 작업중지, 안전개선활동도 활성화한다고 합니다. 이때 중요하게 보는 것은 "위험성평가" 입니다. 스스로 유해.위험점을 발굴하고 개선하는 일련의 과정을 실효성 있는 안전으로 판단한것 같습니다. 정부는 "위험성평가 중심의 자기규율.. 2023. 3. 20.
중대재해처벌법 감독시 확인 주요서류 중대재해처벌법에서 가장 중요한 서류? 고용노동부에서 발간한 중대재해 예방 매뉴얼(중앙행정기관), 중대재해처벌법 해설 등을 참고하여 보면 가장 중요한것은 감독관마다 다르겠지만 우선 시 하는 것은 당연히 서류입니다. 어떤 서류가 기본이 될까요? 감독시 확인 주요서류는 근로감독관 집무규정(산업안전보건) 부문에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이 서류를 기본으로 중대재해처벌법에서 요구하는 이행의 증빙 서류가 필요합니다. 반기 1회 이상 점검 1) 유해, 위험요인 확인 개선 절차 마련, 점검 및 조치 (시행령 제4조제3호) 산업안전보건법 36조에 따른 위험성평가를 하는 절차를 마련하고, 그 절차에 따라 위험성평가를 직접 실시하거나 실시 하도록 하여 실시결과를 보고 받은 경우에는 해당 업무절차에 따라 유해, 위험요인 확인.. 2023. 3.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