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안전점검회의 주기 방법 작업전 안전점검회의

by Hello Philippines 2023. 3. 4.
반응형

작업전 안전점검회의 안전회의 TBM
230209 작업 전 안전점검회의 가이드(배포용).pdf
4.01MB

1.  TBM 작업 전 안전점검 회의 란?

중대재해 감축 로드맵의 중요한 활동은 위험성평가와 TBM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작업 전 안전점검회의" TBM (TOOL BOX MEETING)에 대해 고용노동부의 운영 가이드를 요약하여 말씀드려 보겠습니다. 현장에 대부분의 사고는 건설현장에서 발생되고 있습니다. 약 40% 따라서 중대재해 및 산업재해 감축을 위해서는 건설현장에서 하고 있는TBM을 가이드에 맞게 운영하는 것을 방법으로 판단한 것으로 보입니다.

TBM은 안전한 일터를 조상을 위해 가장 효과적이고 실천 가능한 방법 중에 하나입니다. 그 날에 일하는 현장에서 조장, 반장이 주관이되어 위험점을 공유하고, 일의 계획을 직접적으로 조원들에게 전달하는 과정입니다. 이는 10분 내외로 소요됩니다. 작업자들과 함께 모여 가장 중요하게 공유 될 있은 위험성평가입니다. 따라서 조장, 반장 등 TBM 리더의 사전 준비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짧은 시간에 그 날의 할일을 확인하고 안전대책까지 공유되어야 합니다. 효과적인 전달을 위해 리더는 사전에 준비가 필요합니다. 이때, TMB리더는 반장, 조장의 위치에 있는 사람이 할 수 있지만 안전 작업방법을 잘 알고 있는 작업자가 될 수 있습니다. TMB리더는 주기적으로 안전교육을 이수하여야 합니다. 

2. TBM실행

현장에서 진행합니다. 10분 내외로 여려주제를 이야기 하지 않습니다. 2~3개정도로 핵심만 전달합니다.

작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매주, 격주 단위로 실시하는 것이 효과적인 경우도 있습니다. 4~10명 사이가 가장 전달이 효과 적입니다. 20명을 넘으면 전달의 실효성이 낮아집니다. 일부 인원이 불참했다면 그 인원에게는 작업 전에 전달하여야 합니다.  1) 작업자 건강을 확인합니다. 2) 작업내용/위험요인/안전절차 공유합니다.  3)작업자가 숙지하였는지 질문합니다.

질문은 개방형으로 합니다. (작업 시 가장 중요한 안전수칙은 무엇인가요?, 정리 정돈을 하면 어떤 점이 좋은가요?)

 

3. 작업 전 안전회의 잘 운영하는 방법

1) 아차사고, 동종업종 사고사례를 활용합니다.

2) 보호구의 지급 여부와 착용 상태로 확인합니다.

3) 일방적인 전달이 아닙니다. 작업자의 토론을 유도합니다.

4) 참석자 간 칭잔을 통해 긍정적인 분위기를 만듭니다.

5) 사전준비를 잘합니다. 안전보건공단 홈페이지 (작업 전 안전보건교육 자료)를 확용합니다.

    안전부서에서는 사전에 자료를 제공합니다.

 

고용노동부 가이드를 첨부합니다.

 

 

 

반응형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