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SHA-MS 인증제도 심사원 도전하기!
안전보건공단(KOSHA)이 제정한 KOSHA-MS 인증기준을 적용하여 적합할 경우 인증서를 부영하는 제도
그리고 공단을 대표해 심사를하는 심사원. 1년에 한번 시험이 있음, 공단에서 공지함
22년도 기준으로 기출된 문제 중심으로 작성(객관식, 주관식)
1장 안전보건과 경영
안전보건경영시스템 구축 시 기대 효과 (객관식)
1.기업손신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안전보건활동을 경영차원의 시스템으로 구축하고 안전보건경영에 관한 사업주의 의지를 확고히 천명 하므로써 외부의 불필요한 간섭 없이 사업장 스스로 안전보건활동을 추진할 수 있음.
2. 노사.사가 전사적으로 기업의 안전보건방침을 이행함으로써 준법 정신이 습관화됨은 물론 깨끗하고 안전한 환경에서 작업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과 품질이 좋아짐
3. 인근 지역주민과 관련기관, 고객 등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므로써 기업이미지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는 결국 기업발전의 토대가 될 수 있음
4.재해율.작업손실율 감소 등으로 재해보상액 감소, 생산성 향상, 근로자 복지개선 등을 이룩할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기업발전에 도움이 됨.
산업안전의 역사
1906년- 미국 철강회사 "SAFETY CAMPAIGN" 시작, 1912년까지 중대 재해 43.2% 감소 <안전의 시발점>
"Safety first campaign"
1931년- Heinrich 산재예방 이론 발표, Domino theory 1:29:300
1961년- Bird 손실관리 이론발표 1:10:30:600
1974년- 영국공장안전보건법, 경영자 의무사항으로 risk assessment 규정
1981년- 한국 산업안전보건법 제정
1999년- 한국 KOSHA 18001 제정
안전이론
하인리히의 도미노 이론
재해손실비용 비율, 직집손실비용 : 간접손실비용 = 1:4
불안전한 행동 및 불안전한 상태의 점유율
- 불안전한 행동 88%, 불안전한 상태 10%, 천재지변 등 위 두가지 원인이 아닌 경우 2%
재해발생 비율
- 중상자 : 경상자 : 무상해 사고 : 1:29:300
버드의 신도미노 이론 (객관식)
관리(제어의 부족) > 기원(기본원인) >징후(직접원인)>접촉(사고)>손실(재해손실)
하인리히의 도미노이론에서는 단지 직접적인 원인(불안전한 상태 및 불안전한 행동)를 제거하면 재해는 발생되지 않는다고 보지만, 버드는 직접적인 원일을 제거하여야 재해를 예발할 수 있다고 봄
기본적인 원인 : 개인적 요인(지식 및 기능의 부족, 부적당한 동기부여, 유체적 또는 정신적 문제 등)
업무적요인(부적절한 작업기준, 부적당한 기기의 사용방법, 작업체제 등)
직접적 원인 : 하인리히의 불안전한 상태 및 불안전한 행동에 해당
스위스 치즈 모델
조직적영향>불안전한감독>불안전한행동의 전체조건>불안전한행동>재해
사고(재해)의 원인은 사업장의요인(작업절차서, 작업계획, 지도감독, 작업부하, 시간적 압박 등)에 있음
조직요인(경영방칭, 관리체제, 안전문화 등)
정상사고
1. 위험을 대단치 않은 향상만 가지고도 감소시킬 수 있는 위험
2. 대처하기 위해 중대한 노력을 요구하는 위험
3. 어떤 편익도 훨씬 능가하는 위험
위험성관리(객관식)
1. 1989년 위험성평가를 통한 위험관리를 핵심요소로 하는 유럽안전보건기본법이 제정
2.독일의 산업안전보건법상에 위험성평가제도 반영(1996년)
3.일본의 노동안전위생법사에 위험성평가제도 반영(2006년)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