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감독자의 역할, 주요업무
관리감독자의 정의와 주요 업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관리감독자의 정의
가. 정의
(1) 관리감독자는 기관(사업장)의 생산과 관련되는 업무와 그 소속직을 직접 지휘.감독하는 직위에 있는 사람으로써
생산라인의 조장, 반장, 매니저 해당됩니다.
조직에서 위치가 소속직원을 직접 지휘 감독하는 자는 관리감독자로 볼 수 있다고 함(고용노동부 질의회시집)
(2) 건설현장에서는 직장, 조장, 반장 등 해당 공정 작업을 직접 지휘하는 사람도 관리감독자 임
나. 관리감독자의 직위에 있는지 판단
직책(조장, 반장, 과장, 차장, 대리, 이사)에 해당되는지 여부가 중요한 것이 아닙니다.
회사 상황에 따라 실제 담당하는 근로자를 지휘하는지, 감독하는지를 따라서 판단함
2. 관리감독자의 역할 과 주요업무
가. 업무수행능력 - 안전보건에 대한 확고한 신념과 함께 안전분야, 보건분야에 대한 풍부한 지식이 필요로 합니다.
나. 원만한 리더십 - 직원의 요구 사항을 알고 직원의 자질의 업그레이드에 노력합니다.
- 문제점을 발견하고 조기에 해결하고 노력하여야 합니다.
산업안전보건법 상의 관리감독자의 주요업무
기계. 기구 또는 설비 안전점검 및 확인
1) 기계.기구 또는 설비의 안전보건점검(방호조치, 방호조치를 해제 하는지 등)
2) 유해.위험 방지 업무에 있어서의 점검 및 조치(유해위험 방지업무)
3) 작업 시작전 점검(산업안전보건 기준에 관한 규칙 별표2, 작업시작전 TBM 등 을 실시)
4) 점검과 관련된 안전보건조치(산업안전보건 기준에 관한 규칙)
5) 도급사업 시의 순회점검 및 안전.보건점검(산업안전보건법 제 63조~제66조)
직원의 작업복.보호구, 방호장치의 점검과 그것을 잘 착용했는지 교육 및 지도
- 직원이 작업복을 잘 입었는지 확인
- 방호장치를 해제하였는지 확인
- 보호구는 잘 착용하였는지 확인
산업재해 발생 시 보고 및 응급조치 실시
- 재해 발생되면 응급조치(근로자 구조) 후에 관리 부서에 신속히 보고
- 재해 현장은 원상태로 보존하며 훼손하면 안됨
- 폭발.화재 발생되면 근로자를 대피시키고 소화 한다
- 산업재해 보고는 규정을 준수한다.
1) 산업재해 보고
사망 또는 중대재해(3개이상 요양이 필요한 사고로 2명 이상인 것) 는 즉시 보고하고
3일 이상 휴업이 발생된 재해는 1개월내 보고한다. (미보고 시 과태료 1000만원 이하)
2) 동일한 재해가 발생되지 않도록 위험성평가를 실시하고 개선한다.(매우중요)
작업장(일터) 정리정돈 및 통로확보 되었는지 확인(안전보건규칙 제11조)
안전관리자, 보건고나리자, 산업보건의 지도 조언에 협조한다.
위험성평가를 위한 유해위험요인을 파악하고 그 결과에 따라서 개선한다.
서류보존
3년 - 산업재해 발생서류, 안전관련 협의체, 산업안전보건위원회 관련 서류 등
5년 - 작업환경측정 서류, 건강진단에 관한서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