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이란?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 표준교재가 궁금하시면 아래 글을 참고하세요!
건설공사에서 일용근로자를 채용하는 사업주(기관장)은 고용노동부에 지정된 전문 교육기관에서 실시하는 교육을
받도록 하여야 합니다. 이는 산업안전보건법 법31조에 해당됩니다.
교육내용
- 건설공사 종류 및 시공 절차의 안내
- 재해유형 위험요인 그리고 안전보건조치
- 안전보건관리체계와 근로자의 준수사항, 권리사항
비용, 교육기관 찾는 법
- 비용 4~6만원 (4시간 교육)
- 안전보건공단 안전보건교육포털 접속 → 고객지원 →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 →교육기관 찾기(70여개)
교육 이수 후에는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 이수증' 발급 받음
건설현장의 주요 산업재해
건설현장에서는 사망사고는 주로 떨어짐 57%를 차지하는 대표적인 사고유형입니다.
그 다음으로 부딪힘 8%, 물체에 맞음, 깔림.뒤집힘 등이 이어집니다.
또한, 사망사고의 60%가 개구부, 철골, 지붕, 비계에서의 작업이 위험요인으로 보입니다.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아파트 건설공사
주택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전국아파트는 넓은 땅에 여러 아파트를 동시에 시공합니다.
대부분은 대형형태의 공사장으로 많은 근로자가 필요합니다.
이때, 떨어짐이 사망재해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그 외에는 낙하하는 물체에 맞음.
건설 기계에 부딪힘.깔림 등이 대표적입니다.
다세대 주택 및 근린생활시설 공사
다세대 주택과 빌딩 등의 공사는 도심지의 좁은 공간에서 시작됩니다.
주로 소규모 현장으로 공사기간일 짧고 인력도 작습니다.
공사중에 자재 인양을 위해서 사용하는 수직 개구부, 창문, 발코니 설치를 위한 수평 개구부가 많습니다.
그리고 중소건설 업체가 시공함에 안전능력이 현저히 낮습니다.
철골공사
건축물의 뼈대를 이루는 철골, 철고부재를 사용하여 기둥을 세우는 작업입니다.
철골 위에서 인양되어 추락고 협락의 위험이 있습니다.
토공사
토공사는 도로나 철도를 만들기 위한 공사입니다. 흙깍기, 흙쌓기, 다짐, 되메우기 작업이 있습니다.
토공사는 굴착기(굴삭기), 덤프트럭 등 건설기계를 사용합니다. 운전자가 인지 못하고 신호수나 유도원을 기계로 치는 사고가 발생됩니다.
관로공사
상.하수도관, 가스관을 땅에 매설하는 공사입니다.땅을 굴착하고 배관을 설치하는 공사로 양중 중 부딪힘과 작업자의 추락의 위험이 있습니다.
건설현장에서 중요한 재해예방 활동 '위험성평가'
건설현장 재해예방 활등의 핵심은 위험성평가입니다! 위험요인을 발구하고 개선하는 일련의 과정입니다.
근로자를 위협하는 것들은 모두가 위험요인입니다. 건설현장의 대표적인 위험요인에는
1) 단부.철골.개구부,지붕,비계
2) 굴착기. 트럭. 이동식크레인 등 기계
3) 화학물질, 방유제, 방수제, 페인트 등 유해인자
위험성평가는 근로자의 참여가 필수 입니다. 특히 작업전 미팅, 아차사고 신고제도를 활용합니다.
이는 근로자의 의견을 반영하여 위험요인을 발견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