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51 작업중지명령 기준 대상 해제 절차 요약(중대재해 발생 시 작업중이 명할 수 있음) 이를 해제를 위해서는 위험을 개선 후에 "작업중지명령 해제신청" 이 필요 작업중지 명령 대상 최근 "군산 세아베스틸" 공장에서 중대재해가 발생 되었습니다. 중대재해란? 사망자 1명 이상, 3개월 이상의 요양이 필요한 부상자가 동시에 2명 이상 발생한 재해, 부상자 또는 직업성 질병자가 동시에 10명 이상 발생한 재해 중대재해 발생되면 관할 근로감독관은 현장조사를 나갑니다. 작업중지 명령은 중대재해가 발생되어야 가능합니다. 따라서 근로자가 병원에 있는 경우, 치료 중 사망한 경우 사망일 기준으로 작업중지 명령을 내리게 됩니다.산업안전보건법 제55조 최근 발생된 군산 공장의 경우도 위과 같은 사례로 치료중 사망한 사건입니다. 따라서 사망 후 작업중지 명령을 내.. 2023. 3. 22. 안전보건교육 쉽게 실시하는 방법 TBM 교육방법 고용노동부에서는 소규모 사업장에서 안전보건교육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가이드북을 배포했습니다. 요약 (안전보건교육의 정의, 교육시간, 방법, 자료 찾는법을 알려드립니다) - 작업현장 근처에서 실시하는 교육 TBM 가능 - 회사 내 사무실, 휴게공간에서 가능 - 작업 시작 전 후에 핸드폰 등을 사용하여 교육 가능 안전보건교육이란? 직원의 행동을 변화 계획적으로 변화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스스로 사고 위험에 대해 예방하는 방법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실천할 수 있도록 유도합니다. 교육을 통해 안전한 행동의 습관화입니다. - 유해.위험요인에 대한 보호 방법 - 안전보건에 대한 지식 - 적절한 대응 방법 - 불안전한 행동의 예방 - 안전한 행동으로 화사 내 "사고 사전 예방" 교육시간 및 종류 정기교육 .. 2023. 3. 21. 위험성평가 개정 위험성평가 고시 2023년 4월 개정예정 위험성평가 고시 요약 이 글은 개정되는 위험성평가의 고시의 방향을 알 수 있다 쉽고 간편한 방법의 위험성평가 최초평가 1개월 이내에 착수 TBM 실시 시 수시, 정기평가로 인정됨 "중대재해 감축 로드맵"에서 위험성평가가 이번 정부의 핵심 수단임을 공지하였습니다. 이에, 고용노동부에서는 위험성평가의 고시도 개정하고 있습니다. 2023년 4월에는 고시에 확정되어 공유될 예정입니다. 법제처의 고시로 등록됩니다. 위험성평가란 직원들이 스스로 위험한 일을 알게 되고, 그 위험을 개선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살펴보는 일련의 과정입니다. 이번에 개정 예고된 "사업장 위험성평가 관한 지침" 고시는 어려웠던 기존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위험성평가 재 정의 그동안에는 강도.. 2023. 3. 20. 안전보건산업 육성 중대재해 대책(고용노동부 보도자료) 요약 정부에서는 중대재해 감축을을 위해 "중대재해 감축 로드맵"을 설정하였습니다. 이는 위험성평가의 감독을 강화하는 내용입니다. 따라서 스마트장비 및 관련 인력 양성에 예산을 배정하고 그에 따라서 일자리가 창출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안전보건산업 육성방안 고용노동부(정부)는 지난해 발표했습니다 "중대재해 감축 로드맵"을 통해서 중대재해를 예방하겠다는 내용이였습니다. 중대재해 발생 회사의 수가와 감독을 통해서 엄중하게 책임을 부과한다는 점, 이는 작업중지를 포함합니다. 직원들은 작업중지, 안전개선활동도 활성화한다고 합니다. 이때 중요하게 보는 것은 "위험성평가" 입니다. 스스로 유해.위험점을 발굴하고 개선하는 일련의 과정을 실효성 있는 안전으로 판단한것 같습니다. 정부는 "위험성평가 중심의 자기규율.. 2023. 3. 20. 이전 1 ··· 4 5 6 7 8 9 10 ··· 13 다음